[일반화약학] 9. 화공품

 

화공품

정의 : 화약을 사용 목적에 따라 가공한 물품

1. 폭발증대 (공업뇌관, 전기뇌관, 비전기식뇌관)

2. 점화 (화관)

3. 신호 (신호뇌관, 신호화관)

4. 시간/거리/대피 (도화선, 신관)

5. 관상

6. 위협

 

 

 

공업뇌관

- 폭약을 기폭시키는 역할을 수행

- 구리/알루미늄 재질

- 내경 6.2mm 외경 6.5mm 관체는 35~50mm를 사용한다.

- 내관은 기폭약의 보호를 위해 삽입

- 약면에서 관 입구까지 12mm 이상 유격

- 첨장약은 주로 테트릴,펜트리트를 사용한다

- 기폭약은 DDNP와 아지화연을 사용한다.

- 기폭약은 첨장약을 완폭시킬 수 있을 양으로 한다.

- 4mm의 연판을 관통해야함

- 둔성폭약시험을 통과해야함

- 공업뇌관은 흡습성이 있으므로 주의해야함

- 아지화연을 사용할 경우 관체에 구리를 사용하지 않는다

- 뇌홍을 사용할 경우 관체에 알루미늄을 사용하지 않는다.

- DDNP를 사용할 경우 알루미늄을 사용하지 않는다.

 

 

전기뇌관

 

- 발파기를 이용해서 발화시킨다

- 검정뇌관은 검정폭약과 같이 검정을 받아야 한다.

- 내정전기성을 갖고 있다.

- 순발전기뇌관은 연시장치가 없어서 바로 터진다(3ms이내에).

- DS전기뇌관, LP전기뇌관은 점화장치와 장약사이에 연시장치가 있다. 

- 지진탐광용뇌관은 연시장치가 없고 0.1ms내에 폭발한다.

 

비전기뇌관

- 도화선/각선과 달리 Shock Tube를 사용함

- 외경 3mm, 내경 1.5mm이며 폭발없이 2000m/s로 연소된다.

- HMX90% Al 10%로 구성되낟.

- 비전기식이므로 안전함

- 재사용 불가

 

 

도화선

- 흑색화약을 심약으로 하고 1종(탄광용), 2종(공업용), 3종(노천용)으로 분류된다.

- 도화선 1m당 연소시 100~140초 내에 범위에 있으며 측정치의 7%를 벗어나면 안됨

- 50mm 이상의 점화력을 가져야 한다.

- 1,2,3종 모두 수심 1m에서 2시간이상 견디는 내수성을 가져야 한다.

- 흡습시 연소초시가 달라지므로 주의

- 삽입하는 쪽은 직각으로 절단하고 점화하는 쪽은 경사지게 절단한다.

 

 

도폭선

- PETN을 심약으로 사용

- 폭굉을 다른 방향으로 전달하는데 사용

- 1종(피크린산), 2종(펜트리트) 으로 분류된다.

- 제 2종이 주로쓰이며 선경은 4.9mm, 5.5mm가 있다.

- 6000m/s

- 수심 3m에서 3시간, 침수용은 수심 50m에서 3시간의 내수성

- 충격,전기,화염에 대해 안전성이 매우 높다.

 

 

* 성능시험

- 연판시험 : 두께 4mm 연판 관통여부

- 둔성폭약시험 : TNT 70%, 탈크30%의 시험체 기폭 여부

- 점화전류시험 : 0.25A 직류전류로는 발화하지 않고 1A의 직류전류 발화여부

- 내수성 시험 수압 1kg/cm2에서 1시간 이상 침수시킨 후 연판 시험

- 단별 발화 시험 : 단수가 낮은 것부터 순차 폭발 여부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