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화약학] 1. 화약 용어 정리

 

일반화약학 독학을 하는데 인터넷에 자료가 너무 없어서

(인강은 너무 비쌈...)

여기저기서 긁어모은 자료들을 재구성해 내 블로그에 정리하려고 한다.

많은 분들에게 도움이 됐으면

 

 

 

 화약의 정의 및 특징

 

정의 : 고체 또는 액체 폭발성 물질로서 일부분에 충격 또는 열을 가하면 순간적으로 전체가 기체물질로 변하고 동시에 다량의 열을 발생하면서 기체의 팽창력에 의해서 유효한 일을 하는 물질을 뜻한다. 주로 산화반응에 의해 일어나는데, 그 속도가 급격한 특징을 갖는다.

 

특징 :  1. 대부분 가연제와 산소공급제를 갖고 있어 따로 산소 공급이 필요하지 않다.

          2. 연료와 다르게 발생열 에너지가 적고, 폭발 속도가 빠르다.

 

폭발물의 정의 : 열역학적으로 불안정해서 외부의 자극이나 충격에 의해 폭발을 일으키는 것을 말한다.

 

 

산화반응 : 가연성 물질이 산소와 반응하여 산화물을 생성하는 반응 ( 보통 발열 반응으로 열을 생성한다 )

 

 

연소 : 물질이 빛이나 열 또는 불꽃을 내면서 빠르게 산소와 결합하는 반응이다. 물질이 완전히 연소할 때 발생하는                열을  연소열이라고 하며 대부분의 연소반응은 발열반응이다. 

         연소의 경우 화염의 전파속도를 연속이라고 한다.

 

 

폭발 : 급속히 진행되는 화학반응에서, 반응에 관여하는 물체가 급격히 또한 현저하게 그 용적을 증가하는 반응이다. 그 조건은 연소의 조건을 갖추고 있으며, 또한, 폭발물질이 산소와 화합하는 가연성 물질이고, 산소화합물이 혼합되어 있어야 한다. 

 

화약력 : 화약 1KG을 폭발시킬 때 생성한 가스를 1L의 용기에 넣었을 때의 압력

 

 

폭발은 속도차이에 의해서 2가지로 나뉘어지는데,

 

폭연 : 음속(340/s)보다 느린 속도로 일어나는 폭발반응

 

폭굉 : 2~3000m/s 이상의 속도로 일어나는 폭발반응 

         폭굉의 경우 화염의 전파속도를 폭속이라고 한다.

 

 

 

화약의 법규적 분류 

 

법규적으로 화약·폭약·화공품()으로 분류된다.

화약 : 연소에 의해서 탄환 등의 물체를 추진시키는 것 

폭약 : 파괴적 폭발의 용도를 가진 것

화공품 : 화약/폭약을 사용 용도에 따라 가공한 것

 

 

 

정리하자면

 

화약(완성화약) : 폭발반응이 느리고(완성적이고) 추진작용을 가짐 (EX: 흑색화약, 추진약)

폭약(맹성화약) : 폭발반응이 빠르고(맹성적이고) 파괴작용을 가짐 (EX: 에멀젼폭약, 다이너마이트)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