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HD 유형 정리
- 공부/심리학
- 2020. 5. 12.
ADHD에 대해 여러 자료를 조사하던 중
한 외국사이트에 들어가봤는데
ADHD에도 다양한 종류가 있다는 것을 알았다.
오늘은 그 내용에 대해 포스팅하려고 한다.
ADHD의 유형 총 4+7(11)가지
1. 세로토닌 불균형
세로토닌은 긴장/스트레스/불안 완화에 도움이 되는 물질로
너무 낮거나 높으면 충동/부주의 징후를 겪을 수 있습니다.
성인의 경우 세로토닌이 낮으면 집중력이 특히 떨어질 수 있습니다.
추가로 불안/경미한 우울증/수면 장애는 세로토닌이 낮다는
추가적인 증거입니다.
2. 도파민 불균형
도파민은 의욕/학습/집중/보상/쾌락 등 여러가지에 관여하는
정말 중요한 물질입니다. 아시다시피 현재 치료제로 쓰이고 있는
대부분의 약들이 도파민 재흡수/ 도파민 분비 촉진의 원리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도파민이 부족하면 부주의/건망증/기억력 및 충동 제어력 저하를 겪습니다.
반대로 도파민이 높다면 감각적 처리문제 및 흥분성 증가를 겪습니다.
3. 노르에피네프린
노르에피네프린은 주의 조절을 돕는 아드레날린 호르몬입니다.
노르에피네프린에 불균형이 있을시 부주의 및 과잉 행동을 보일 수 있습니다.
애더럴과 리탈린 또한 노르에피네프린 조절에 관여합니다
4. GABA, 글루타메이트 불균형
GABA는 뇌를 진정시키는 (억제성) 신경전달물질이며
글루타메이트는 뇌를 배선시키거나 활성화시키는 (활성화)
물질입니다.
GABA 수치가 낮으면 부주의를 동반하고
글루타메이트 수치가 높으면 충동을 유발합니다.
1. 보편적인 ADHD
증상 : 부주의, 산만, 과잉 행동, 무질서 및 충동
휴식시 정상적인 뇌 활동, 작업시 뇌 활동 감소
원인 : 도파민 결핍
치료 : 리탈린,애더럴,콘서타 혹은 L-티로신과 같은 도파민 전구체 투여
2. 부주의한 ADD
증상 : 부주의, 장기 집중력 부족, 비조직적, 일을 미룸, 공상, 내성 주로 여성
원인 : 도파민 결핍; 전두엽 피질의 활동이 적습니다.
치료 : 리탈린 애더럴 콘서타 혹은 L-티로신과 같은 도파민 전구체 투여
3. 과도하게 집중된 ADD
증상 : 부주의, 산만, 무질서, 충동, 부정적인 사고패턴
원인 : 도파민과 세로토닌 결핍 및 대상회의 과잉 활동
치료 : L- 트립토판, 5-HTP, 사프란 등 영양제
4. 측두엽 ADD
증상 : 부주의, 산만, 충동, 편집증, 기억력 및 학습 기능 저하
원인 : 측두엽의 이상 그리고 전전두엽 피질의 활동 감소.
치료 : GABA, 마그네슘, 빈포세틴 등
5. 번연 ADD
증상 : 부주의,산만,충동, 저에너지, 무기력증, 죄책감, 낮은 자존감
원인 : 뇌의 변연부 (기분 제어/조절)의 과잉 활동. 작업/휴식 시 전두엽 활동 감소
치료 : L-트레오신, SAMe, 항우울제
6. ADD PLUS
증상 : 빨리 말하기, 불안, 두려움, 부주의, 산만
원인 : 뇌 전체의 과잉 행동
치료 : GABA 및 세로토닌 등으로 과잉 활동 억제
7. 불안한 ADD
증상 : 부주의, 산만, 두려움, 불안, 긴장, 최악의 상황 가정, 두통, 복통
원인 : 바질 신경절의 활동이 많음 (활동이 적은 대부분의 ADD와 반대).
치료 : L-테아닌, 도파민, GABA 등으로 활동 억제 및 진정
이렇게 총 11가지로 분류했는데
... 거의 왠만한 건 다 겪고 있는 것 같은데 증상의 정도에 따라서
다르겠지만 결론은 호르몬의 균형이 가장 중요한 것 같다.
운동, 식습관, 호흡, 명상, 금란물, 햇빛, 수면의 질 향상
ADHD를 치료하는 데 있어 무조건 병행해야할 것들이다.
2020/05/11 - [ADHD 관련자료] - ADHD 와 GABA (억제성 신경전달물질) 의 관계
2020/05/09 - [ADHD 관련자료] - 집중력의 종류 (ADHD)
2020/05/07 - [ADHD 관련자료] - 뇌파의 종류 그리고 ADHD
'공부 >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파민 보충 영양제 (도파민 전구체들) (0) | 2020.05.14 |
---|---|
도파민 수송체와 ADHD (0) | 2020.05.13 |
ADHD 와 GABA (억제성 신경전달물질) 의 관계 (2) | 2020.05.11 |
집중력의 종류 (ADHD) (0) | 2020.05.09 |
뇌파의 종류 그리고 ADHD (0) | 2020.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