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파민 수송체와 ADHD

 

 

ADHD 유전요인/발병기전

 

 

지난 글에서 ADHD는 유전적 요인이 크다고 했는데

도파민 수송체 DAT1 유전자와

도파민 수용체 D4 DRD4의 유전요인이 
(전전두엽엔 D1,D4 수용체가 많음)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낸다고 한다.

 

 

 

 

 

도파민 수송체 역할

 

 

 

도파민 수송체는 도파민을 운반하는 역할과

시냅스로 분비된 도파민을 다시 재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 도파민 수송체(DAT)를 만드는 DAT1 유전자는 다양하며

ADHD 환우들은 DAT1에서 공통적인 염기배열을 갖고 있는 듯하다 )

 

 

그리고 ADHD환자들이 정상인에 비해서

도파민(DA)의 흡수를 담당하는 DAT(도파민 수송체)

의 밀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됐고 이에 따라

도파민의 효능이 약화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그래서 메틸페니데이트같은 경우

시냅스에서 도파민수송체(DAT)의 

활동을 감소시켜 도파민 재흡수를 억제한 후

도파민의 농도를 증가시킨다.

 

 

2020/05/05 - [ADHD 관련자료] - 메틸페니데이트 장기복용시 부작용

2020/05/02 - [ADHD 관련자료] - 장건강과 세로토닌, 신경전달물질의 관계

2020/04/27 - [ADHD 관련자료] - 포르노 중독과 신경가소성, ADHD 및 도파민

2020/05/12 - [ADHD 관련자료] - ADHD 유형 정리

2020/05/11 - [ADHD 관련자료] - ADHD 와 GABA (억제성 신경전달물질) 의 관계

2020/05/09 - [ADHD 관련자료] - 집중력의 종류 (ADHD)

2020/04/20 - [ADHD 관련자료] - 도파민,세로토닌의 부족 우울증,ADHD,불안

2020/04/19 - [독후감] - 도파민 이야기 (ADHD,불안,초조,세로토닌)

2020/04/13 - [ADHD 관련자료] - 유전자 검사 결과 (게놈프로젝트) ADHD 유전형질 발견 ㅠ

2020/04/12 - [ADHD 관련자료] - 음식물 중독과 ADHD 그리고 밀가루/설탕

2020/04/10 - [독후감] - [책리뷰] 실수투성이 당신, 성인 ADHD? -2편- (ADHD 약 효과 부작용 치료)

2020/04/10 - [ADHD 관련자료] - ADHD에 관한 고찰 2편 - 약 부작용 치료 -

 

 

 

 

 

'공부 >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성염증과 뇌 건강  (2) 2020.05.15
도파민 보충 영양제 (도파민 전구체들)  (0) 2020.05.14
ADHD 유형 정리  (0) 2020.05.12
ADHD 와 GABA (억제성 신경전달물질) 의 관계  (2) 2020.05.11
집중력의 종류 (ADHD)  (0) 2020.05.09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