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HD 와 GABA (억제성 신경전달물질) 의 관계

 

 

GABA

 

신경계에서 흥분을 조절하는 (억제하는) 신경전달물질이다. 

중추신경계에서 30~40%를 차지할 정도로 넓고 높은 농도로 분포되어 있다.

GABA가 부족하면 흥분을 억제하지 못해서 발작등이 일어날 수 있다.

 

GABA 수용체를 자극하면 신경이 안정되고 이 원리를 이용한

수면제도 있다. 추가로 스트레스 불안 우울증 등 심리적 장애를

줄일 수 있고 알파파(이완된 상태)를 증가시키고 베타파(활성)

을 감소시킨다고 한다.

 

특히 원치 않는 생각을 하지 않도록 도와주는 물질이 GABA다

실제로 본인의 생각을 억제하는 사람의 GABA 농도가 높음을

확인했다.

 

 

 

 

GABA와 도파민의 관계?

 

 

출처 : the science monitor

 

"마오비"라는 물질이 GABA를 과도하게 분비시키면

도파민 신경세포가 잠들어서 도파민이 부족해지게 된다.

그래서 파킨슨병 환자들에게 치료제로 쓰이는 약이

1. L-DOPA(레보도파) : 도파민 전구체, 뇌에 도달 가능

2. 마오비 억제제 : 마오비를 억제시켜 GABA 생성을 억제한다.

위의 2가지다.

 

GABA와 DOPAMINE의 관계에 있어선 ADHD보다 파킨슨병이

중점적으로 다뤄지고 있는 것 같다.

그렇다면 ADHD와는 관계가 없을까?

 

 

 

GABA와 ADHD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3970207/

 

Reduced GABA Concentration in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 is a developmental disorder characterized by a deficit in behavioral inhibition. Recent evidence also suggests a deficit in cortical inhibition via the GABA (γ-aminobutyric acid)–ergic system.To ...

www.ncbi.nlm.nih.gov

 

https://www.mendeley.com/catalogue/2bf020c9-5d5e-3f25-8373-5edab92e1083/

 

Upregulated GABA inhibitory function in ADHD children with child behavior checklist-dysregulation profile: 123i-iomazenil SPECT

(2015) Nagamitsu et al. Frontiers in Psychiatry. The child behavior checklist-dysregulation profile (CBCL-DP) refers to a pattern of elevated scores on the attention problems, aggression, and anxie...

www.mendeley.com

 

등의 연구결과와 여러 기사/논문들을 보면 

ADHD 환우들은(전부는 아님) 보통 GABA 농도가 낮다고 한다.

 

파킨슨병은 GABA가 높아서 도파민이 억제되는 거고..

ADHD는 GABA가 낮다라...  더 어려워지는 것 같다.

다만, GABA가 부족할 때 생기는 증상들이 나에게 있는 걸로

봤을 때 어느 정도 맞는 얘기 같다.

 

 

 

 

 

GABA 부족의 원인 및 보충 방법

 

스트레스/ 나쁜 식습관/ 수면 부족/ 카페인 과다/ 글루텐 불내증이

주로 GABA의 기능 장애 원인이 될 수 있다고 한다.

추가로 장내 박테리아가 GABA를 생성하는데 

박테리아의 균형이 무너지면 이 또한 원인이 될 수 있다고 한다.

 

실제로 프로바이오틱스 등으로 장의 건강을 유지시키면

가바생성에 도움이 되고 운동 및 L-테아닌(녹차성분)도 좋다

특히 요가나 유산소 운동은 드라마틱한 효과가 있다고 한다.

 

 

 

 

고찰

 

우선... 불안/스트레스/생각억제능력 부족 등이 GABA의 원인이라면

모두 내 증상인데 나도 GABA 부족인건가?

호르몬의 세계는 알다가도 모르겠다

다만 페니드를 먹으면 

실행력/억제력/집중약간올라감 등이 생기는 건 맞는데..

그냥 몸에 좋다는 건 다해봐야지

운동이나 꾸준히 가야겠다

 

 

2020/05/07 - [ADHD 관련자료] - 뇌파의 종류 그리고 ADHD

2020/05/09 - [ADHD 관련자료] - 집중력의 종류 (ADHD)

2020/05/09 - [ADHD 치료 일기] - ADHD 치료일기 38일차, 페니드30mg 취업집착

2020/05/04 - [ADHD 관련자료] - ADHD 소리치료 및 신경가소성(토마티스)

2020/05/02 - [ADHD 관련자료] - 장건강과 세로토닌, 신경전달물질의 관계

2020/04/27 - [ADHD 관련자료] - 포르노 중독과 신경가소성, ADHD 및 도파민

 

'공부 >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파민 수송체와 ADHD  (0) 2020.05.13
ADHD 유형 정리  (0) 2020.05.12
집중력의 종류 (ADHD)  (0) 2020.05.09
뇌파의 종류 그리고 ADHD  (0) 2020.05.07
메틸페니데이트 장기복용시 부작용  (2) 2020.05.05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